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레버리지, 인버스, 곱버스 개념과 차이점

by 아싸 2021. 9. 8.

레버리지 (Leverage)

지수가 상승했을 때 2배의 수익을 얻는 상품입니다. 지수의 2배를 추종하기 때문에 주식장이 앞으로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예상되면 레버리지에 많은 자금이 몰립니다. 

예) 'KODEX 코스닥 150 레버리지', 'KBSTAR 200 선물레버리지'처럼 종목 뒤에 레버리지라고 붙습니다.

 

반대로 지수가 하락했을 때도 2배의 손실을 얻게 된다는 것을 명심해야 합니다. 주식이 하락장일 때는 당연하고,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는 횡보장일 때는 더 높은 손실을 입게 됩니다. 지수의 2배를 추종하기에 복리식으로 수익률이 더 크게 떨어지는 것이죠.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 상품입니다.

참고
레버리지(Leverage)는 '지렛대'라는 뜻으로, 금융시장에서는 타인의 자본을 이용하여 자기 자본의 수익률을 높인다는 뜻으로 쓰입니다. 

 

인버스 (Inverse) 

Inverse는 '반대의'라는 뜻으로,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을 얻는 상품입니다. 만약 지수가 2% 하락하면 인버스는 2% 상승하는 것이죠. 20년 3월 코로나 팬데믹처럼 큰 경제위기가 올 때는 인버스에 많은 투자자들이 몰립니다. 

예) 'KODEX 인버스', 'ARIRANG 코스닥 150 선물인버스'처럼 종목 뒤에 인버스라고 붙습니다.

 

곱버스

곱버스의 정확한 명칭은 '인버스2X'입니다. 인버스처럼 지수가 하락하면 수익을 얻는데, 인버스의 2배 수익률입니다. 만약 지수가 5% 하락하면 인버스는 5% 수익이지만, 곱버스는 10% 수익을 얻습니다. 이 역시 고위험 고수익(High Risk High Return) 상품입니다.

예) 'TIGER 200 선물인버스2X', 'KOSEF 200 선물인버스2X'처럼 종목 뒤에 인버스2X라고 붙습니다.

 

 

이 3개의 ETF는 워낙 위험성이 높아 장기적인 관점에서 봤을 때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상품은 아닙니다. 게다가 2021년 1월 4일부터 국가에서 이 3개 상품의 거래에 한해 강의를 듣도록 정했습니다. '한국금융투자협회 금융투자교육원'에서 강의를 진행하며 회원가입 후 수강료 3000원을 지불해야 합니다. 참고로 매도하는 것은 수강할 필요가 없으며, 매수하는 경우 수강해야 합니다. 기존에 보유하고 있더라도 추가로 매수할 경우 역시 수강해야 합니다.

댓글